728x90
SMALL

초등국어공부 35

국어 문제 해결 학습 모형

1.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해결 방법 찾기 3. 문제 해결하기 4. 일반화하기 - 학습자 주도의 문제 해결 과정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모형 - 이미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 학습자 수준에 비하여 학습 내용이나 절차가 쉽고 간결한 경우에 모형 적용이 바람직함. -문제 해결 방법 찾기와 문제 해결하기 단계 주의점: 교사의 직접적인 개입을 최대한 줄이고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탐구 활동을 최대한 강조한다.

초등국어공부 2025.07.04

국어 가치 탐구 학습 모형

1. 문제 분석하기2. 가치 확인하기3. 가치 평가하기4. 가치 일반화하기 -언어에 내재된 가치를 탐구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다양한 가치에 대한 인내심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주는 모형- 다양한 가치 발견과 이에 대한 비판적 수용에 초점.-교사는 학습자에게 한 가지 가치만을 선택하도록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모형의 적용 과정에서 토의토론 활동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자신의 가치 평가가 타당한지에 대하여 성찰할 수 있게 된다.

초등국어공부 2025.07.03

<학급 회의>

- 회의 전 단계1. 의제 제안2. 의제 선정3. 회의 공고- 회의 중 단계1. 개회2. 국민의례 3. 주제선정4. 주제토의5. 표결6. 결정내용발표7. 폐회 회의 용어1의제: 회의에서 논의할 사항. 안건의 제목이 의제.2제안: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하여 안(의견)을 내놓은 행위. 일단 동의(1인 이상의 찬성 또는 재청)가 성립되면 논의되고 결정 대상이 됨.3재청: 의제 제안자나 동의한 사람 외의 다른 사람이 찬성하는 절차. 동의(안을 제안) 뒤에 이뤄짐.4표결: 심의한 안건에 따라 회원들이 찬성 또는 반대하는지 묻는 행위. 표결 절차가 끝나면 그 결과를 선포하는 의결(가결 또는 부결)을 하게 됨.5발언: 회의에서 의장의 허가로 자기 의견 발표.(말하는 것)6동의: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해..

초등국어공부 2025.07.01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