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 음절의 끝소리가 될 수 있는 자음 ㄱㄴㄷㄹㅁㅂㅇ가느다란물방울그녀다리만보여 받침이 ㅅ,ㅈ,ㅊ,ㅌ,ㅎ > 이럴 땐 많은 경우 ㄷ으로 발음된다.시옷 > 시옫지읒 > 지읃치읓 > 치읃티읕 > 티읃히읗 > 히읃 초등국어공부 2025.07.11
국어 문제 해결 학습 모형 1.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해결 방법 찾기 3. 문제 해결하기 4. 일반화하기 - 학습자 주도의 문제 해결 과정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모형 - 이미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 학습자 수준에 비하여 학습 내용이나 절차가 쉽고 간결한 경우에 모형 적용이 바람직함. -문제 해결 방법 찾기와 문제 해결하기 단계 주의점: 교사의 직접적인 개입을 최대한 줄이고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탐구 활동을 최대한 강조한다. 초등국어공부 2025.07.04
국어 전문가 협동 학습 모형 1. 계획하기(모집단)2. 탐구하기(전문가 집단)3. 서로 가르치기(모집단)4. 발표 및 정리하기-특정 주제에 대하여 깊이 있게 공부할 때에 적용 가능 초등국어공부 2025.07.03
국어 가치 탐구 학습 모형 1. 문제 분석하기2. 가치 확인하기3. 가치 평가하기4. 가치 일반화하기 -언어에 내재된 가치를 탐구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다양한 가치에 대한 인내심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주는 모형- 다양한 가치 발견과 이에 대한 비판적 수용에 초점.-교사는 학습자에게 한 가지 가치만을 선택하도록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모형의 적용 과정에서 토의토론 활동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자신의 가치 평가가 타당한지에 대하여 성찰할 수 있게 된다. 초등국어공부 2025.07.03
국어 직접교수모형 1. 설명하기2. 시범보이기 3. 질문하기4. 활동하기- 이해학습 차시에서 활용- 시범보이기 할 때 (생각구술법=사고구술법) 활용- 설명과 시범 단계에서 주의점: 학생들의 참여 최대한 확대- 확장된 사고와 활동 적극 권장 초등국어공부 2025.07.03
희곡의 요소 1. 대사2. 해설3. 지문(인물의 행동, 표정, 말투 등을 나타내는 부분)-희곡은 무대 상연을 목적으로 한 글로, 항상 현재 시점으로 서술함.-촌극을 길이가 짧은 연극으로 하나의 사건으로 구성됨. 대본, 등장인물, 관객이 있어야함. 초등국어공부 2025.07.02
<학급 회의> - 회의 전 단계1. 의제 제안2. 의제 선정3. 회의 공고- 회의 중 단계1. 개회2. 국민의례 3. 주제선정4. 주제토의5. 표결6. 결정내용발표7. 폐회 회의 용어1의제: 회의에서 논의할 사항. 안건의 제목이 의제.2제안: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하여 안(의견)을 내놓은 행위. 일단 동의(1인 이상의 찬성 또는 재청)가 성립되면 논의되고 결정 대상이 됨.3재청: 의제 제안자나 동의한 사람 외의 다른 사람이 찬성하는 절차. 동의(안을 제안) 뒤에 이뤄짐.4표결: 심의한 안건에 따라 회원들이 찬성 또는 반대하는지 묻는 행위. 표결 절차가 끝나면 그 결과를 선포하는 의결(가결 또는 부결)을 하게 됨.5발언: 회의에서 의장의 허가로 자기 의견 발표.(말하는 것)6동의: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해.. 초등국어공부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