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사회공부

사회 문제해결 학습

CT's Diary 2025. 7. 10. 22:03
728x90
SMALL

사회 문제해결 학습에서 제시되는 문제 상황의 자료가 갖춰야 할 성격
1. 흥미성: 문제 상황 장면이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어야 함.

2. 실제성: 문제 상황은 실제의 경험적 장면을 제공하여야 함.

3. 불완전성: 문제 상황은 불완전한 정황을 내포해야 함.

4. 도전성: 문제 상황은 학생들의 상식적인 경험에 반하는 것이어야 함.

 

- 불완전성과 도전성은 비슷함, but 둘 다 추구하는 것은 결국 문제 해결 욕구를 높이는 것.

- 사회 문제해결 학습 모형은 "일상적인 문제"를 다루는데 효과적
- 문제해결 학습 모형의 장점: 공감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한다. 실감 나는 사회 인식 가능
 
- 문제해결 학습모형 단계
1. 문제 상황 파악: 당혹스러운 문제 상황 제시, 문제에 공감하기
2. 문제 원인 확인: 브레인스토밍, 문제의 원인에 대한 잠정적 가설 수립
3. 정보수집: 자료수집, 자료를 바탕으로 결론 도출
4. 해결대안제시: 브레인스토밍, 문제 해결책의 평가
5. 문제 해결 및 정리

-'문제 원인 확인'과 '해결 대안 제시' 단계는 브레인스토밍 때문에 고급사고력 중 '창의적 사고력'과 관련 깊은 단계.

-'해결 대안 제시' 단계는 문제 해결책의 평가 때문에 '비판적 사고력'과도 연관 있음.

 

 

 

728x90
LIST

'초등사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개념 학습 모형 - 속성모형  (0) 2025.07.10
사회 의사결정학습모형  (0) 2025.07.10
사회 탐구 학습  (0) 2025.07.10
국민의 의무와 권리  (0) 2025.06.27
선거의 과정  (0) 202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