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사회공부
사회 의사결정학습모형
CT's Diary
2025. 7. 10. 22:08
728x90
SMALL
-개인적, 사회적 문제에 대해 지식과 가치를 토대로 이성적인 선택을 내림
-관련된 기능영역 목표는 "의사결정능력"
ex) 갈등문제, 공장 건설 찬반 문제
단계
1. 결정 상황 확인 : 의사 결정 상황 제시, 결정 문제 확인 > 개인적, 사회적 문제 모두 가능
2. 대안 개발: 문제의 사실적 측면과 가치적 측면 분석, 가능한 대안 개발(브레인스토밍)
3. 평가기준 작성: 평가기준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평가 기준표 작성(사실적 기준과 가치 기준 고루 포함되도록)
4. 대안 평가: 대안에 대한 점수 매기기, 대안들의 장단점 평가하기
5. 최종 결정: 문제의 사실적 측면, 문제의 가치적 측면
-문제의 사실적 측면 >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음. >> 사실, 사실문제, 지적탐구과정, 사회과학적 탐구과정
ex) 일자리 증가율, 오염된 계곡 방치? 산의 환경 오염, 생물 멸종, 생물 보호를 위한 방법?
-문제의 가치적 측면 >> 가치문제, 가치탐구과정
ex) 환경 파괴의 책임 소재? 경제발전과 환경보존과의 경중?
-탐구학습 모형이 지식 쪽만 다루는 수업 모형인데 반해, 의사결정 학습모형은 지식과 가치가 동시에 고려된 종합적 문제 해결 과정임.
-논쟁문제 수업모형은 사회적 차원의 의사결정 문제만 다루는 반면, 의사결정 학습모형은 개인적, 사회적 문제 모두 다룰 수 있음. 단, 둘 다 목표는 의사결정능력 신장과 지적탐구과정과 가치탐구과정을 모두 고려해 선택함.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