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공부

말하기 지도 단계 2가지 ver

CT's Diary 2025. 7. 10. 22:41
728x90
SMALL

PPFS
-Presentation 점검
-Practice 정확성
*Controlled Oral Practice 의도 대로, substitution drill
*Guided Oral Practice 교사의 통제 있지만 여지
-Free Speaking 유창성 자신의 언어 의미 Information gap activity

3P
-Presentation(제시)
-Practice(연습) 정확성, 명시적 교정
-Production(발화) 유창성 meaning, fluency, interaction

 

-Presentation: 교사는 말하기 연습을 하기 위한 어휘, 문법 혹은 기능어를 사전에 가르치거나(pre-teach) 점검한다.

-Practice: 기본적으로 ALM 특징 지님, 정확성 강조

-Controlled Oral Practice: 학생이 교사의 의도대로 정확하게 말을 함.(학생 선택권 없음)

-활동의 예: 모델 대화 따라하기, 문형 대체 연습하기(substitution drill. 문장에서 한 단어만 바꿈), 짧은 구어 표현하기(시계 보여주면서 시간 말하게 하기 등, 답이 한 개인 질문하기)

 

-Guided Oral Practice: 교사의 통제를 받지만 학생들 자신이 말할 내용에 선택의 여지가 있음. 일반적으로 말할 전체적인 내용과 상황을 제한하고 표현의 양상에는 약간의 자유를 허락한다. 질문자는 답변자가 어떤 범위 내에서 답변을 할지 예측할 수 있을 뿐이지 정확한 하나의 답변은 예측할 수 없다. 

-활동의 예: 질문에 대한 부정을 "No", "No, thank you" 등 다양한 표현방법을 씀. 단서가 붙은 대화체(Cued dialogue), 질문서(Class questionairs, 제한된 범위의 내용으로 질문하고 답변하는 짝활동 또는 그룹활동)

 

-Free Speaking(CLT 특징 지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 중시): 자유로운 말하기 활동, 학생들이 통제되거나 유도된 상황 속에서 익혔던 언어를 포함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언어 지식을 총동원하여 자신의 언어로 자신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함. 언어 자체의 연습이라기 보다는 의미(meaning)의 전달에 중점을 두는 활동. 언어는 진정한 의사소통의 수단임.(의미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오류는 의사소통에 큰 문제 X)

-활동의 예: 비밀 찾기(Discovering secrets, 스무고개), 빠져 있는 정보 찾기(Information gap activity) 영어로 둘이서 서로 정보 교환을 해야만 나머지 빈칸을 채울 수 있는 과업(Task))

그림에서 차이점 찾기(두 명이 각각 다른 그림을 보면서 차이점 발견하기) 묘사와 배열하기

 

-3P(PPP)

-Presentation(제시)

-Practic(연습, ALM의 특징 지님, 정확성 강조): 교사의 지도하에 전체 학생들이 함께 교사의 말을 따라 연습하고 교사와 한두명의 학생이 연습하고 다음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짝이나 조별로 연습. 학생들의 실수는 명시적으로 교정

-Production(발화, CLT의 특징 지님, 유창성 강조): 학생들이 이미 연습한 요소들을 사용하여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의사소통함. 어법보다는 의미(meaning), 유창성(fluency),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중점으로 지도함.

728x90
LIST